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가기

연구성과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혁 교수 공동 연구팀, 세계 최초로 태양전지 광안정성 평가 기술 구축

구재연 기획과 등록일 : 2022-07-29

논문이 포함된 썸네일 이미지

- 반도체 기반 트랜지스터 분석 기술로 차세대 태양전지 광안정성 평가에 새로운 방법론 도입

- ≪Solar RRL≫ 학술지 6월호 표지논문에 선정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혁 교수와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노정균 교수 공동연구팀이 유기물 태양전지의 새로운 광안정성 평가 방법인 Top-gate field-effect transistor를 이용한 Testbed를 구축했다.  


논문 발췌 이미지
논문 발췌 이미지


유기물 태양전지는 가볍고 값싸게 생산할 수 있어 미래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상용화의 주요 장애물인 광에 의한 성능 저하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 유기물 태양전지의 광안정성은 빛을 흡수하는 광활성층 반도체 특성에 크게 좌우되지만 다층박막구조인 태양전지의 특성상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이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유기물을 이용한 태양전지 및 트랜지스터 분석과 신뢰성 평가에 원천 기술과 핵심 노하우를 갖춘 김혁 교수 연구팀은 유기물 태양전지의 광활성층 반도체 자체에서 빛에 의한 이동도 저하를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광안정성 평가 방법인 Top-gate field-effect transistor를 이용한 새로운 분석 기술을 제안하며 학계의 난제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했다. 


김혁 교수좌 교신저자 노정균 교수 우 1저자
▲  김혁 교수(좌, 교신저자), 노정균 교수 (우, 1저자)


김혁 교수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트랜지스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태양전지 광안정성 평가 기술은 기존의 광활성층 안정성 평가 기술이 전무한 학계의 난제를 해결했다는 의의가 있다”라며,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핵심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에 우리나라의 대표 산업인 반도체 기술을 적용해 빠르게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연구로 국내 관련 산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 연구 결과는 ‘Top-Gate Field-Effect Transistor as a Testbed for Evaluating the Photostability of Organic Photovoltaic Polymers’라는 제목으로 태양전지 분야의 권위 학술지인 와일리(WILEY) 출판사의 Solar RRL(Impact factor: 9.173) 2022.6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육성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인력양성사업 및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제조 전문인력양성사업,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소프트 로보틱스 원천기술개발)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